한여름이 되면 산악회, 조기축구회, 사이클 동호회 등에서 회원들에게 나눠줄 소금을 준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늘집에 소금을 비치해둔 골프장도 있다. 운동하느라 땀 흘리고 난 뒤에 물과 함께 소금을 섭취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는 잘못이다. 땀을 많이 흘리면 물을 평소보다 많이 마셔야 한다. 하지만 피부에 소금기가 하얗게 낄 정도로 땀을 흘려도 소금을 별도로 섭취할 필요는 없다.
- 골프장 그늘집에 비치된 알약 형태의 소금/싱겁게먹기실천연구회 제공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홈페이지에서 '더울 때는 알약 형태의 소금을 섭취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정상적으로 식사를 하면 소금을 추가로 섭취할 필요가 없다'고 답한다.
무더위에서 야외활동을 하다가 일사병, 열사병으로 쓰러지는 원인이 땀으로 소금이 너무 빠져나갔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평상시 땀으로 배출되는 소금은 하루 0.1~0.2g이다. 땀을 많이 흘리면 1~2g이상 배출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한국인의 하루 소금 섭취량은 10g(나트륨 4027mg)으로 WHO 권고량의 2배를 넘는다. 이렇게 많은 소금을 섭취하므로 소금이 평소보다 많이 빠져나가도 일사병 등을 일으키지 않는다.
일사병은 인체가 무더위에 오래 노출됐을 때 체온 조절 기능이 정상 작동하지 않을 때 생기는 것으로 소금과는 무관하다. 소금을 추가로 섭취한다고 해도 일사병을 예방할 수 없다.
오래 전에 군 복무를 했던 사람들은 행군 때 물과 함께 소금을 먹었던 기억을 갖고 있다. 그래서 땀을 많이 흘리면 소금을 추가로 섭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제 군인들은 여름에 행군이나 야외활동 때 소금을 갖고 다니며 먹지 않는다.
의학적으로 식사 외에 소금을 추가 섭취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긴 하다. 하지만 이는 부신(副腎) 기능에 문제가 있는 사람 등에게 한정되며, 극히 드물다.
김성권 싱겁게먹기실천연구회 이사(서울대 명예교수)는 "여름에 골프, 축구, 등산 등을 할 때 소금, 또는 알약 모양의 소금 등을 먹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전혀 필요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평소 소금을 많이 먹는 한국인은 습관처럼 추가로 섭취하는 소금이 건강을 해친다는 사실을 알고 하루 빨리 이런 습관들부터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헬스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