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식히기

항공史 최대 미스터리 말레이機 실종… 기획 살인비행?

부산갈매기88 2018. 5. 16. 07:35

호주 방송, 탐사 프로그램 방영
"기장이 주도면밀하게 준비, 기내 압력 낮춰 승객 무기력화
승객들은 구조 신호 못보내…" 범행 동기는 여전히 불분명

자하리 아흐마드 샤
2014년 3월 8일 오전 0시 41분. 239명을 태운 말레이항공 370편(MH370)은 쿠알라룸푸르를 떠나 베이징으로 향했다. 1시간 41분 뒤 MH370은 항로에서 완전히 벗어난 인도양 니코바르 군도(群島) 인근에서 마지막으로 레이더에 포착됐고 그게 끝이었다.

말레이시아·호주·중국 등 관련국들은 이후 3년간 위성과 레이더의 온갖 데이터를 토대로 추락 추정 지점인 인도양 남부 해상과 해저를 샅샅이 뒤졌으나 일부 잔해만 수거했을 뿐 기체는 끝내 찾지 못했다. 사상 최대 규모의 해저 탐색 작업은 작년 1월 그렇게 종결됐다.

MH370 실종 사건은 세계 항공사의 최대 미스터리로 꼽힌다. 항로가 기록된 1시간 41분 동안 일체의 구조 요청도 없었다. 추락 직전 혼란에 빠진 승객들이 흔히 보이는 메시지 송신 시도도 전혀 없었다. 위성 데이터를 분석하면 마지막 레이더 포착 이후에도 MH370은 6시간을 더 날다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됐다.

이 미스터리의 비밀을 호주 방송이 새롭게 제시했다. 탐사 작업에 참여했던 호주·영국·캐나다·인도의 항공·해양 전문가들이 14일 방영된 호주 채널9의 탐사 프로그램 '60분(60 Minutes)'에서 "이 사건은 기장이 사전에 주도면밀하게 준비하고 감압(減壓)으로 승객들을 무기력하게 만든 대규모 살인·자살 미션이었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데이터를 종합해 추론한 기내 상황은 이렇다. 53세의 기장 자하리 아흐마드 샤〈사진〉는 이륙 25분 뒤 말레이시아 영공을 벗어나기 직전 관제사에게 "굿나이트" 인사를 한다. 그리고 여객기의 자동응답장치를 껐고, 곧 기수를 정반대 방향으로 틀었다. 27세의 부기장이 동승했지만 그는 이날 처음 보잉 777에 탄 초보였다. 이후 구불구불한 태국과 말레이시아 국경을 따라 직선 비행을 했다. 양국에선 이를 포착했지만 영공의 끄트머리를 들락날락하는 여객기에 신경 쓰지 않았다.

말레이항공 사고 여객기의 확인된 항로
전문가들은 "미국이나 영국 같았으면 20분 내에 전투기가 옆에 따라붙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시아에서 보잉 777기종을 수년간 몰았던 영국인 항공 전문가는 "2만 시간의 비행시간을 갖춘 자하리는 어떻게 해야 여객기가 사라지는지 정확히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후 기장 자하리는 산소마스크를 쓴 뒤 급작스럽게 기압을 떨어뜨렸다. 승객과 승무원들은 의식을 잃거나 무기력 상태에 빠졌다. 항로 이탈을 감지했더라도 그들은 반응할 수가 없었다.

MH370은 페낭을 지날 무렵 기체가 왼쪽으로 두 차례 이유 없이 기울었다. 왜 그랬을까. "자하리가 자신의 고향 페낭을 마지막으로 보려는 감정적인 인사였다"는 것이다. 이후 MH370이 연료가 소진될 때까지 날았던 6시간이 자동비행이었는지, 자하리가 최후까지 조종간을 잡았는지에 대해선 의견이 갈렸다. 한 항공기 추락 전문가는 발견된 잔해가 20점에 불과한 것에 주목했다. 자하리가 기체의 손상을 최대한 막는 불시착을 택했다는 것이다. 착륙 시 뒤로 펼쳐지는 날개 플랩(flap)도 펼쳐진 채 발견됐다. 자하리는 MH370 자
체를 '거대한 무덤'으로 보전하려고 했고, 기체는 그대로 바닷속으로 빠졌다는 것이다. 급전직하했다면 충격으로 최소 200만 조각으로 파괴된다는 것이다. 자하리의 집에선 항로 이탈을 연습한 시뮬레이터도 발견됐다.

자하리의 범죄 동기(動機)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전문가들은 "동기가 뭐든 그는 계획한 대로 결코 발견되기 힘든 곳으로 여객기를 몰고 갔다"고 말했다.



출처 : 조선일보/2018/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