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에서만 사는 헬리코박터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위(胃)에서만 사는 균이다. 실제 구강 내 치석, 대변, 소변에서 헬리코박터균이 검출됐지만 모두 죽은 균이었다. 이용찬 교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감염자의 입을 통해서 감염될 가능성이 가장 크다"며 "대부분 10세 이전에 감염이 되는데, 과거 어린 아기에게 소화가 잘 되라고 음식을 씹어서 주는 육아법 등이 감염률을 높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고 말했다. 지금은 이런 행동을 하는 부모가 많이 없어졌고, 과거에 비해 위생 상태도 개선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률이 낮아졌다. 이용찬 교수는 "초등학생의 경우 감염률이 20% 미만"이라고 말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어떻게 강한 위산(胃酸)에도 죽지 않고 살아남을까? 위점막에 붙은 헬리코박터균이 '우레아제'라는 효소를 가지고 알칼리성인 암모니아를 만들어내는데, 이 과정에서 위산이 중화돼 살아남을 수 있다.
◇헬리코박터균의 독성 단백질, 암 유발
헬리코박터균에 감염이 되면 거의 100%가 위염에 걸린다.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사람의 위점막에는 1㎠당 균이 1000~10만 마리나 살고 있다. 고대안암병원 소화기내과 최혁순 교수는 "헬리코박터균에서 만들어내는 독성 단백질 CagA등이 위 점막 세포에 침투해 염증을 일으킨다"고 말했다. 염증이 계속 되면 만성 위축성위염→장상피화생→위암까지 이어진다〈그래픽〉. 이용찬 교수는 "일반적으로 만성 위염에서 위암까지 가는데 20~50년이 걸리지만, 일부는 만성위염에서 바로 위암으로 간다"고 말했다.
위궤양·십이지장궤양 환자나 위암 환자는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됐다면 항생제 복용을 통해 제균(齊均) 치료를 해야 한다. 이때는 건강보험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최혁순 교수는 "위암 가족력이 있거나 기능성 소화불량증이 잘 안 낫는 경우에도 제균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출처: 헬스조선 2017.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