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은 미래가치와 수익률에 따라 변동
초과수익률 커져 돈 몰리면 가격
경제이론에서 집값은 ‘장기균형’을 중심으로 움직인다. 널뛰는 집값도 균형의 힘은 못 벗어난다. 그럼 장기균형 집값은 뭘까. 답은 ‘연간 임대료 나누기 금리’다. 임대수익이, 집값을 은행에 넣었을 때 받을 이자수익, 즉 집값 곱하기 금리와 동등한 수준일 때 자산들 사이에 균형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자가 거주자는 내 집을 임대했더라면 받을 수 있었을 금액, 즉 ‘귀속임대료’를 스스로에게 받고 있다고 보면 된다.
연간 임대료가 2000만 원인 서울 어느 아파트의 장기균형 가격은 금리가 4%일 때 5억 원이다. 여기서 ‘금리’는 기준금리에 감가상각률, 보유세율, 각종 위험에 대한 할증률 등을 더한 최소한의 ‘필요수익률’이다. 이 아파트는 실제로 3년 전까지 5억, 6억 원대에 거래됐다. 그러나 작년 말엔 10억 원, 최근엔 13억 원이 됐다. 지난 몇 달간 임대료나 기준금리에 변화가 없었는데 어떻게 가격이 몇억 원씩 뛰었을까.
해답의 실마리는, 균형을 결정하는 변수값들이 사실은 지금부터 먼 미래까지에 대한 평균적 예측치라는 데서 찾을 수 있다. 미래에 대한 예상이 갑자기 바뀌면 균형 집값도 갑자기 바뀐다. 미래에 임대료가 오르리라는 예상, 또는 필요수익률이 떨어지리라는 예상이 퍼지면 당장 아무 일이 없어도 집값은 오른다. 예컨대 지하철역이 집 근처에 놓인다는 뉴스가 나오면 실제 임대료는 몇 년 후부터 높아지겠지만 집값은 이 예상을 반영해 바로 오른다. 또 기준금리나 보유세율, 리스크 등이 생각보다 낮아져 최소 필요수익률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면 실제 기대되는 수익률과 필요수익률 간의 차이, 즉 초과수익률이 커져 돈이 몰리며 집값이 오른다. 이때 일종의 병목현상 때문에 집값이 당분간 새 균형값보다 높아지는 ‘오버슈팅’도 발생한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어떤 예상들이 시장에 확산됐나. 첫째는 인기 지역 임대수익이 오를 것이라는 예상이다. 전국에 돈이 풀리면 그 돈이 결국 인기 지역 부동산으로 흘러 지대를 높일 것이고, 각종 복지 혜택이 늘면 소득 중 임대료나 대출 원리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높일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인구가 줄면 일자리가 있는 서울로 모두 모일 것이고, 맞벌이가 늘 텐데 서울서 일하는 부부가 외곽에 살면 육아가 어렵다는 견해도 있다. 교육정책은 8학군을 부활시켜 인기 지역에 살아야 할 이유를 늘릴 것이며, ‘민주정부’인 만큼 임대주택 공급도 인근 주민이 반대하면 추진하지 못하거나 추진해도 뭔가 보상을 해줄 것이고, 또 환경을 중시하니 좋은 위치 아파트의 희소가치는 더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둘째는 생각보다 보유세가 약하고 금리 인상도 더딘 데다 고령화로 ‘안전자산’ 수요가 급증해 집 보유를 통해 얻어야 할 최소 필요수익률이 낮게, 즉 초과수익률이 높게 유지된다는 예상이다. 특히 집은 주식·채권에 비해 각종 세제 혜택과 편법을 활용하기 쉬워 최고의 가치 저장 및 상속·증여 수단이 된다는 믿음이 있다. 베이비붐 세대의 대량 은퇴가 인기 지역 주택 수요의 폭증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연결고리다. 만약 안전하고 유망한 자산으로 인식되는 서울 집의 가치 저장 및 상속 효용이 너무 커져 집을 그냥 비워둬도 괜찮다고 할 정도까지 필요수익률이 낮아지면 부르는 게 값이 된다. 장기균형을 좌우하는 이런 예상들이 시장에서 굳어질 때마다 집값은 뛴다.
'머리식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로 살펴본 유권자의 정책 우선순위 (0) | 2018.09.18 |
---|---|
부동산에는 6개의 계급이 있다 (0) | 2018.09.17 |
항공권 싸게 사고 싶으면, ‘수출 화도’ 기억하세요 (0) | 2018.09.06 |
"대신 그만둬 드립니다"… 日, 퇴직 대행 도우미 인기 (0) | 2018.09.04 |
마눌님의 ‘삼식이’ 눈칫밥? 일단 앞치마 두르세요 (0) | 2018.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