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추워지면, 따뜻한 찌개나 전골이 생각난다. 그런데 찌개를 끓이다 보면 테두리에 불투명한 거품이 끼는데, 보기 좋지 않아 걷어내는 경우가 많다. 찌개에 생기는 거품은 먹으면 안 되는 불순물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찌개에 생기는 거품은 몸에 해롭지 않다. 100도가 넘으면 물이 끓어올라 증기가 되는데, 이때 기포가 발생한다. 이 기포에는 찌개의 식재료나 양념 등에서 나온 녹말·단백질 성분이 섞이면서 불투명하고 흰색을 띠는 것이다. 실제로 충남대 농업과학연구소가 청국장·순두부 찌개·김치찌개 거품 등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이 수분·조단백질·녹말 등의 영양성분이었다. 찌개의 종류에 따라 부유물의 정도가 다른데, 고기나 생선을 넣었다면 내장의 핏물이나 단백질 성분이, 된장찌개라면 주재료인 콩에서 나온 단백질 성분이 응고해 떠오른다.
따라서 찌개의 거품을 먹는다고 해서 몸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다만 거품이 국물 맛을 텁텁하게 만들고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거품을 걷어내기도 한다. 거품에 든 영양성분은 아주 소량이므로, 걷어낸다고 음식의 영양 조성에는 큰 차이가 생기지 않는다.
출처 : 조선일보 2017/11/15
'머리식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에 2배로 통통한 꽁치, 당신이 꼭 먹어야 하는 까닭 (0) | 2017.11.23 |
---|---|
귀순병사 기생충 수 십마리 발견, 길이 27cm 달하는 회충 (0) | 2017.11.17 |
'온천의 계절’이 돌아왔다! 의학적으로 입증된 온천의 건강 효과 (0) | 2017.11.14 |
스마트폰이 유발하는 각종 질병… '건강한 사용법' (0) | 2017.11.06 |
축구선수에게 탈모가 많은 이유? (0) | 2017.11.02 |